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한글날(위대한 이유, 유래, 몇 돌로 세는 이유)

by 일상생활 즐기기 2024. 9. 25.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세계가 인정한 과학적인 문자 한글. 단순히 우리나라 사람들이 사용하는 문자를 넘어 인류에 빛나는 유산입니다. 공휴일을 즐기는 것도 좋지만 한글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는 건 어떨까요?

1. 한글이 위대한 이유

1. 과학적인 특징

한글은 소리 나는 대로 적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자음은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들어졌고 모음은 하늘, 땅, 사람을 상징하는 원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과학적인 원리 덕분에 누구나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고 새로운 단어나 외래어를 표기하는 데 있어서 매우 유연합니다. 새로운 소리가 나더라도 기존의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얼마든지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창제 원리의 명확성

한글은 세종대왕이 직접 창제한 문자로 그 창제 원리가 명확하게 남아 있습니다. 이는 다른 문자와 비교해 한글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3. 백성을 위한 문자

한글은 단순히 의사소통 도구를 넘어 지배층만 사용하던 한자를 대신하여 백성들에게 쉽게 글을 읽고 쓰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이는 민족 문화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사례입니다.

4. 세계적인 인정

한글의 우수성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유네스코는 한글을 '인류 역사상 가장 과학적인 문자'라고 평가하였으며 한글의 창제 원리를 담은 '훈민정음'을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하여 한글의 위대한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고 있습니다.

 

2. 한글날의 유래

한글날은 우리나라의 고유 문자인 한글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훈민정음 창제라는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지정된 국경일입니다.

 

1. 한글날이 처음 생겨난 배경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나라의 문화와 언어가 억압받던 시기에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고자 하는 열망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는 노력이 시작되었고 자연스럽게 한글날을 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2. 가갸날의 탄생

1926년 조선어연구회(현 한글학회)에서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기념하여 '가갸날'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기념행사를 가졌습니다. '가갸날'이라는 이름은 한글을 처음 배울 때 '가갸거겨'라고 하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3. 한글날로 명칭 변경

1928년 국어학자인 주시경 선생이 제안한 '한글'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면서 '가갸날'은 '한글날'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4. 10월 9일로 확정된 이유

훈민정음해례본에 따르면 훈민정음이 9월 상순에 반포되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9월 상순의 마지막 날인 음력 9월 10일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0월 9일을 한글날로 정했습니다.

 

3. 한글날 몇 돌로 세는 이유

 

2024년 한글날은 훈민정음 반포 578돌입니다. 한글날을 '돌'로 세는 것은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세는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1. 나이를 세는 방식과의 연관성

우리는 일반적으로 생일을 '몇 돌'이라고 표현합니다. 이는 곧 태어난 지 몇 해가 되었는지를 의미합니다. '돌'이라는 단위는 단순히 1년을 세는 단위를 넘어 한 해의 성장과 변화 그리고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문화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한글의 특별함을 강조

한글은 우리 민족 고유의 문자입니다. '돌'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한글의 특별함과 소중함을 더욱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습니다. '돌'이라는 단위는 역사와의 연결성을 보여줍니다. 훈민정음 창제라는 역사적인 사건을 기념하는 날에 우리 고유의 세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한글의 역사성을 더욱 부각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3. 다른 기념일과의 차별화

일반적인 기념일은 '몇 주년', '몇 회'와 같이 표현하지만 한글날은 '몇 돌'이라는 독특한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는 한글날만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고 다른 기념일과 차별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한글날을 '돌'로 세는 것은 우리 고유의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고, 한글의 특별함과 역사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표현 방식을 넘어 한글에 대한 우리 민족의 깊은 애정과 자긍심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